Employee Branding, 기업문화의 또 다른 언어

Employee Branding, 기업문화의 또 다른 언어

Employee Branding, 기업문화의 또 다른 언어

2025. 10. 23.

직원이 회사를 자랑하고 싶어질 때, 진짜 브랜드가 완성됩니다. 내부 경험에서 시작하는 Employee Branding의 전략을 알아봐요.

“우리 회사 자랑하고 싶어요!” 직원들이 먼저 말하게 만드는 법✨

최근 HR 연구에서는 직원 경험(Employee Experience, EX)이 곧 고용주 브랜드(Employer Brand)의 핵심 근간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Deloitte(2024)와 SHRM(2025) 보고서에서도, “직원 경험이 조직 평판과 채용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합니다.


이미지 출처: be-ambassador.com

특히 Renascence 리포트에서는 내부 문화가 외부 브랜드 가치와 일치한다고 느끼는 직원이 회사를 추천할 가능성이 최대 5배 이상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여러 HR 데이터에서 내부 경험이 부정적일수록 초기 이직률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경향이 반복적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즉, 직원 브랜딩은 채용 전략이 아 조직 전략입니다. 직원이 “이곳에서 일하는 게 자랑스럽다”고 느낄 때, 채용·몰입·성과 모든 지표가 함께 성장합니다.


🧡💡 퇴근 후에도 나를 위한 루틴을 만드는 법, 〈101루틴〉 퇴근 후 10분 운동으로 신체나이 되돌리기에서 회복 루틴을 찾아보세요.


🇰🇷 국내 사례 3가지

이미지 출처: coupang.jobs

🏢 1. 쿠팡 – 링크드인이 주목한 ‘일하고 싶은 기업’

쿠팡은 3년 연속(2021~2023) LinkedIn이 발표한 대한민국 Top Companies 리스트에 선정되며, ‘일하고 싶은 기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채용 홍보를 넘어, 내부 문화와 외부 브랜드 이미지가 일관된 조직으로 평가받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직원 경험 중심의 스토리텔링이 곧 기업 브랜딩으로 이어진 대표 사례입니다.


🧑‍💼 2. 배달의민족 – ‘B급 감성’으로 만든 진짜 조직문화

배달의민족은 유머러스하고 자율적인 ‘B급 감성’ 사내 문화로 유명합니다. ‘배민체’ 폰트, ‘배민문방구’, ‘우아한형제들 사내 블로그’ 등 일상적인 콘텐츠 속에서 브랜드의 정체성과 직원의 경험이 자연스럽게 맞닿아 있습니다.

👉 이는 “브랜드=문화=경험”이라는 일체감을 실현한 대표적 국내 사례로, 직원 스스로 회사 이야기를 자랑스럽게 전하는 문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이미지 출처: hotelrestaurant.co.kr

🏠 3.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유연근무로 강화한 직원 중심 일터

한화호텔앤드리조트(현 한화리조트)는 스마트워크·자율좌석제·유연근무제 등을 도입하며, 직원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에도 일부 재택근무와 유연근무를 유지하면서 “직원이 일하고 싶은 일터”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했습니다. 복지 제도가 단순한 혜택을 넘어 직원 경험(EX)의 핵심 터치포인트가 된 사례입니다.


🧡🌿 퇴근 후, 스스로의 리듬을 되찾고 싶다면 〈퇴근 후 밤공기를 맡으며, 우리의 온도를 사진에 담아보아요〉에서 감정 회복의 시간을 경험해보세요.


🌍 해외 사례 3가지

이미지 출처: aihr.com

🎮 1. Electronic Arts(EA) – 직원 스토리로 만드는 브랜드

EA는 “Inside EA” 콘텐츠를 통해 직원의 실제 일상과 문화를 공개하며, 자연스러운 내부 브랜딩 → 외부 홍보 전환을 실현했습니다. 이 콘텐츠는 EA의 핵심 가치인 ‘열정과 다양성’을 전달하는 주요 Employer Branding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2. Google – 경험 중심 고용주 브랜드의 정석

Google은 탁월한 복지와 성장 기회를 바탕으로 ‘직원 경험이 곧 브랜드’라는 철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이 일관된 경험은 전 세계 인재들이 구글을 선호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로, EX 중심 HR의 대표 사례로 꼽힙니다.


이미지 출처: aihr.com

🧵 3. Brother International – 브랜드 리뉴얼로 40% 지원자 증가

Universum Global의 Employer Branding 사례에 따르면, Brother International은 브랜드 리뉴얼 이후 지원자 수가 40% 증가, 입사완료율은140% 상승했습니다. 이는 브랜딩 설계가 실제 HR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입증한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 커리어 전환을 고민하고 있다면 〈예상치 못한 기회를 커리어로 만드는 직장인의 기술〉에서 현실적인 성장 스토리를 참고해보세요.


🧩 HR 담당자를 위한 설계 가이드

① 직원 경험 접점 점검

  • 채용 → 온보딩 → 성장 → 퇴사까지 Employee Journey 전 단계 분석

  • 내부 문화와 EVP(직원가치제안)의 일치 여부 진단

  • “직원이 자부심을 느끼는 순간”을 콘텐츠화해 내부에 전파

② 경험을 브랜드로 전환하기

  • 직원 스토리를 기반으로 외부 홍보 콘텐츠 제작

  • EVP와 실제 경험의 일관성을 점검

  • 브랜드 메시지와 조직문화 언어를 통일


🧡🎵 활력 있는 사내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싶다면, 〈지겨운 유산소는 가라! 5가지 긍정의 감정을 채워주는 댄스 피트니스〉처럼 즐거운 콘텐츠 문화를 참고해보세요.


이미지 출처: renascence.io

③ 복지·문화 설계 = 브랜딩 설계

  • 복지 제도를 “혜택”이 아니라 “브랜드 경험”으로 재정의

  • 사내 프로그램, 공간 디자인, 교육 과정 모두가 브랜드 터치포인트가 되어야 함

  • 클래스101 비즈니스의 ‘EX 기반 브랜딩 워크숍’으로 체계적 설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마치며

Employee Branding은 채용 마케팅이 아닌 조직 전략입니다. 직원 경험이 곧 외부 평판이 되는 지금, HR의 역할은 브랜드 디자이너에 가깝습니다.

🧡 추천 클래스 모음


지금 바로 클래스101 비즈니스와 함께하세요!

👇👇 아래 [상담 문의] 버튼을 눌러 문의하세요! 👇👇

임직원 만족도는 높이고 복지 관리는 간소화하는 솔루션, 클래스101 비즈니스를 도입해보세요!

임직원 만족도는 높이고 복지 관리는 간소화하는 솔루션, 클래스101 비즈니스를 도입해보세요!

임직원 만족도는 높이고 복지 관리는 간소화하는 솔루션, 클래스101 비즈니스를 도입해보세요!

대표 : 공대선

사업자등록번호 : 457-81-00277

회사 주소 :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94길 10, 11층 1101호 (역삼동)

대표전화 : 1800-2109

이메일 : with@101.inc

© 주식회사클래스101. All rights reserved.

대표 : 공대선

사업자등록번호 : 457-81-00277

회사 주소 :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94길 10, 11층 1101호 (역삼동)

대표전화 : 1800-2109

이메일 : with@101.inc

© 주식회사클래스101. All rights reserved.

대표 : 공대선

사업자등록번호 : 457-81-00277

회사 주소 :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94길 10, 11층 1101호 (역삼동)

대표전화 : 1800-2109

이메일 : with@101.inc

© 주식회사클래스101. All rights reserved.